당산역 정형외과 박상준의원 공식 블로그

박상준원장/운동이야기

운동, 한번에 많이 하는게 좋을까? 조금씩 자주 하는게 좋을까?

몸짱의사 2011. 1. 26. 11:48



안녕하세요, 피트니스월드의 유부빌더입니다. 요즘 건강은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많이 생겨서 건강검진을 받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제가 일하는 병원에서도 종합검진을 실시하고 있는데요... 저도 건강검진을 받은 분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설명하고 상담하고 필요한 약을 처방해드리는 진료를 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건강검진 상담을 받으러 뱃살이 넉넉하신 중념남성분이 진료실로 들어오십니다. 그분의 결과를 보고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유부빌더와 남성분의 대화내용을 들어보시죠.


유부빌더 - 안녕하세요~^^* 이쪽으로 앉으시구요... 지난번에 하신 건강검진 결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몸무게도 많이 나가시구요 체지방량도 많으시네요. 이정도면 비만이십니다. 복부비만도 있으시네요.

중년남성 - 그렇죠? ^^;;;;;;;;; 제가 일이 바쁘다 보니 그동안 건강을 챙기질 못했네요...다른 검사는 어떤가요?



유부빌더 - 이것저것 조금씩 문제가 있으시네요. 혈압도 조금 높으신 편이고... 복부 초음파에서 지방간도 약간 보이고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도 좀 높네요.

중년남성 - 헉... 많이 안좋은가요??



유부빌더 - ^^* 많이 안좋으신건 아니구요... 당장 약을 드실 정도는 아닙니다. 우선 식이요법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중감량을 하시면 약없이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거 같네요.

중년남성 - 다행입니다... 안그래도 많이 걱정했는데...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유부빌더운동은 좀 하세요?

중년남성 - 그래도 운동은 좀 하는 편입니다. 일요일마다 4시간씩 등산을 하거든요.



유부빌더 - 아 그러세요? 등산 아주 좋죠. 운동도 많이 되고.... 근데 평일에 하루에 30분정도 운동할 시간은 없으세요?

중년남성 - 그정도 시간은 됩니다만...



유부빌더일요일에 한번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하루에 30분이라도 일주일에 3회 이상 하시는 방향으로 해보세요.

중년남성 -
아 그게 더 도움이 될까요??



유부빌더 - 네. 운동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운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강상의 이득이 많이 사라집니다.

중년남성 - 아 그렇군요!!  그럼 앞으로는 조금씩이라도 자주 해야겠네요~ ^^*






운동, 한번에 많이? 조금씩 자주?


운동은 한번에 많이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조금씩 자주 하는게 좋을까요?

우리가 운동을 하고나면 다양한 건강상의 이득이 생깁니다. 그런데 운동을 통해 얻은 건강상의 이득[각주:1]은 운동 간격이 너무 길어지면 그 효과가 사라지게됩니다. 박사님들의 연구결과 운동을 통해 얻은 다양한 이득은 72시간, 그러니까 3일 정도가 지나면 많이 사라지게 된다고 합니다.[각주:2]

운동에 관한 일반적인 권고사항을 보면 하루에 30분 이상, 일주일에 3회이상 하라고들 말합니다. 이때 일주일에 3회 이상 하라는 이유가 바로 운동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운동을 통해 얻은 이득이 많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하루에 하는 운동량도 중요합니다. 총운동량이 너무 적은적도 좋지 않습니다. 또한 평상시에 시간이 없다면 한번에 많은양의 운동을 하는것도 대안이 될 겁니다. 하지만 한번에 10분씩, 하루에 30분 운동에 투자할 시간이 있다면 운동 사이의 간격이 이틀을 넘지 않게 하는것이 건강상의 많은 이득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옛 어른들의 말씀이 고리타분하지만 다 이유가 있듯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하세요'라는 보건소 홍보문구 같은 얘기에도 다 나름의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 듯 하네요.

그럼 주말을 맞아 집에만 계시지 마시고 개인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으로 건강도 챙기시도 다이어트에도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날씨가 더우니 너무 무리하진 마시구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손가락버튼을 꾸욱~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
 


  1. metabolic rate(대사율), insulin sensitivity(인슐린 민감성) [본문으로]
  2. 참고문헌-Am Fam Physician. 2008;77(8):1029-1136,1138. [본문으로]